728x90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21 단칼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피보나치 비율&ADX&파라볼릭 편 단칼 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피보나치 비율&ADX&파라볼릭 편입니다. 주식에서 사용되는 의미 있는 숫자들은 대부분 피보나치수열 (제0항을 0, 제1항을 1로 두고, 둘째 번 항부터는 바로 앞의 두 수를 더한 수로 놓는다. 1번째 수를 1로, 2번째 수도 1로 놓고, 3번째 수부터는 바로 앞의 두 수를 더한 수로 정의하는 게 좀 더 흔하게 알려져 있는 피보나치 수열이다. 이 둘 사이에는 시작점이 다르다는 정도를 빼면 사실상 동일하다. 그중에서 16 번째 항까지만 나열해 보자면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이렇게 간다.) 나무 위키 펌. 이런 식으로 나온 숫자들 중 의미 있는 비율로 환산을 한 것으로 ..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 2022. 2. 19. 단칼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거래량 관련지표 OBV & EOM 그리고 매물대 단칼 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거래량 관련 지표 OBV & OEM 그리고 매물대 편입니다. 거래량 지표이기 때문에 거래량 분석 복습 주가가 상승할 때는 거래량이 상승해야 함 주가는 상승하는데 거래량이 받쳐주지 못하면 매수 강도가 약해지고 있다는 뜻 반대로 주가가 하락할 때는 거래량이 감소하는 것이 정상(개미들은 본점 심리 때문에 팔지 못하기 때문) 주가가 하락하는데 거래량이 증가한다는 건 세력이 계속 팔고 있는 것 약세장으로 전개된다. OBV지표 . OBV지표는 거래량과 주가의 관계를 파악, 매집과 분산을 알기 위한 지표 OBV지표가 이전 고점을 상승 돌파하면 매집 과정이 진행 중(매수신호) 이전 저점을 하락 돌파하면 분산 과정이 진행 중(매도) *실전에서는 주가는 큰 움직임이 없지만 몇 ..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 2022. 2. 18. 단칼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매매신호를 포착하는 스토캐스틱(stochastic) 편 단칼 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매매신호를 포착하는 스토캐스틱(stochastic) 편 스토캐스틱은 변동성을 나타내는 특성으로 실전에서 단기 매매에 많이 활용되는 지표이다. 1. 교차분석 %K가 %D를 상승 돌파할 때 매수 %K가 %D를 하락 붕괴할 때 매도 2. 과매수, 과매도 분석 스토캐스틱이 80 이상을 과매수 국면 20 이하를 과매도 국면이라 분석 *MACD에서도 언급했듯 과매수나 과매도 구간이라고 하여 즉시 주가가 반전되는 것이 아님, 과매수 구간에서는 추격 매수를 자제하고 과매도 국면에서는 확실하게 침체기를 벗어날 때까지 관망하는 게 정석이다. *%과매수 구간에서 %K와 %D가 반복해서 교차되는 현상을 페일러 현상(실패 현상)이라 하며 과매수 권에서도 상당 부분 추세가 강화되는 경..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 2022. 2. 17. 단칼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MACD+오실레이터(Oscillator) 편 단칼 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MACD+오실레이터(Oscillator) 편 MACD는 추세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MACD는 단기 이평선 (12일)과 장기이평서(26일)의 차이를 이용, 두 이평선이 멀어지게 되면 다시 가까워지려고 하는 속성을 이용하는 지표입니다. [시그널선은 9일 이평선(시그널선은 MACD곡선을 다시 이동평균으로 산출하여 만든 선)] 1. 교차분석 MACD선이 시그널선을 상승 돌파할 때 매수 반대의 경우 매도하는 매매방법 2. 제로선 분석 MACD가 제로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반대로 하락 붕괴시킬 때 매도하는 방법 MACD가 제로선 위에 있을 때는 강세장을 반대로 제로선 아해 있을때는 약세장이라는 뜻 3. 과매수 과매도 분석 MACD가 상승과 하락을 거듭하며..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 2022. 2. 16. 단칼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볼린저밴드와 변동성 편 단칼 선생님의 기술적 분석 강의 볼린저밴드와 변동성 편입니다. 볼린저 밴드는 방향성과 변동성을 파악하는데 아주 유용한 지표입니다. 존 볼린저가 이동평균선에 표준편차를 계산해서 만들었음. 표준편차란 = 실생활에서 천재나 바보들은 그 수가 극히 적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반적일 것 마찬가지로 볼린저밴드도 상한선 하한선이 있지만 이를 넘어가는 일은 극히 적다 대부분의 움직임은 밴드 안 즉 일정한 범위 안에서 움직일 것. 주가의 움직임이 커지면 밴드 폭도 커지고 반대로 주가의 변동폭이 작아지면 밴드의 폭조 축소됩니다 볼린저 밴드의 중심선으로 방향성의 기준을 잡는다. 중심선이 상승 = 상승추세, 중심선이 하락 = 하락 추세 중심선의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는데 주가가 상승할 때는 지지선, 주가가 하락할 때는 저항선..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 2022. 2. 15. 단칼선생님 강의 정리 ] 기술적 분석 강의 거래량 편 단칼 선생님의 기술적 분석 강의 정리 거래량 편입니다. 주가는 실물경기에 6개월 정도 선행한다고 합니다. 주가가 상승 전환되고 반년 정도가 지나야 경기가 좋아지고 있구나 하고 느낄 수 있다는 이야기. 마찬가지로 거래량은 주가에 앞서 먼저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 그만큼 거래량이 중요하다 거래량 = 에너지 거래량이 활발하다 =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거래량이 부족하다 = 돈이 회전하지 않는다 (에너지 소진 주가하락) 종목이 상승하는 가운데 거래량이 계속 늘어난다는 것은 적극적인 매수 신호(거래량 증가 = 현금유입 = 매수세) 거래량이 계속 늘어날 수는 없음. 어느 순간 한계가 오고 거래량이 무너지면 상승하던 에너지가 없어지게 됨으로 자연스럽게 하락으로 반전 = 거래량 감소 = 현금유입 X = 매수세 X) *만약..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 2022. 2. 14. 단칼선생님 강의 정리 ] 이동평균선 설정과 활용(이평선 :MA : Moving Averages) #3 단칼 선생님의 이동평균선 강의 마지막 시간 설정과 활용 편 그랜빌의 법칙을 설명해 주시네요 상승하던 중장기 이평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주가가 이평선을 하락 돌파 = 숨 막힘 = 매도 실전에서는 단기적으로 주가가 120 이평선 위로 올라오는 경우도 아주 많지만 일시적인 현상으로 추세가 하락으로 꺾이는 이유로 허깨비로 봐야 함 = 반등을 이용해 빠져나오는 시점 0 매수 시점 X 이렇게 하락하던 주가가 중장기 이평선에 근접하였다가 다시 하락이 전개될 때 = 적극적인 매도신호 여러 번 설명했듯 본전 매물이 쏟아지면 하락폭이 깊어지는 흐름이 나오게 된다. 추세가 상승을 이어가다 어느 순간 단기간에 큰 상승을 하게 되면 차익실현 물량이 나옴으로 단기 조정에 들어가는 기간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상승 추세는 유효하..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 2022. 2. 14. 단칼선생님 강의 정리 ] 이동평균선 배열도(이평선 :MA : Moving Averages) #2 단칼선생님의 이동평균선 두 번째 강의 이동평균선의 배열도 입니다. 상승하던 주가는 그동안 상승에 따른 이익실현 물량의 출회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한 템포 쉬어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가는 이평선 근처까지 조정을 받게된다. 짧으면 5일선, 혹은 20일 중장기적으로는 120일 이평선을 지지하며 상승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상승하던 주가가 20일 이평선까지 내려오면 저가 매수세가 붙음. 따라서 20일 이평선 근처에서는 재차 상승할 확률이 높음. 즉 상승국면에서는 각 이평선이 지지선의 역활을 한다.. * 이렇게 20일 이평선 까지 밀렸다가 상승하는 것을 조정 국면이라고 함. 만약 주가가 20일평선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되면 120일 이평선까지 하락 파동을 이어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정배열 ..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 2022. 2. 12. 단칼선생님 강의 정리 ] 이동평균선(이평선 :MA : Moving Averages) #1 안녕하세요 럭키입니다. 기술적 분석의 기초 중의 기초 입문자들을 위한 최고의 강의 단칼 선생님의 유튜브 강의를 복습 정리해보려 합니다. 1. 이동평균선 # 1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 = 이평선 = MA = Moving Averages = 종가 기준 EX ] 5일 이동평균선 = 최근 5일간의 주가 평균값, 심리를 반영하는 초단기선 계산식 = 5MA = 당일 + 1 + 2 + 3 + 4 / 5, 당일 포함 최근 5일간의 종가 평균값 EX 2] 20일 이동평균선 = 최근 20일간의 주가 평균값, 당일 포함 최근 20일간의 종가 평균값. 5일 = 일주일간의 평균값, 20일 = 한달간의 평균값, 60일 = 3개월간의 평균값, 120일 = 6개월간의 평균값 * 휴일 제외 이평선의 상승 = 강세 국면 이평선의 상승.. 차트기술적분석/단칼선생님 강의정리 2022. 2. 11.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