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28 엘리어트파동 ] 다양한 형태의 조정파동 FLAT 조정패턴 엘리어트파동 이론 조정 편- 플랫형 플랫은 일반적인 플랫형, 러닝 플랫형, 확장 플랫형 3가지로 나누어진다/ 플랫은 3-3-5 파동은로 이루어진다. A(3 파동)-B(3 파동)-C(5 파동) - ABC 3 파동 A 파동은 트라이앵글 패턴을 제외한 지그재그, 플랫, 콤보 형태 중 하나 B파동은 모든 패턴의 조정파가 나올 수 있다. C파동은 임펄스 파동, 엔딩 다이아고날 형태 -플랫 패턴의 규칙 B파동은 A 파동의 90% 이상을 되돌려야 한다. 대부분 A 파동을 넘어 끝이 난다. -피보나치 비율 B파동은 A 파동의 90% C파동은 A파동의 68.1 100% OR127.2% 임펄스 파동중 2 파동 또는 4 파동 지그재그 조정의 B파동 플랫 조정 패턴의 A 콤보 조정 패턴의 W, Y, Z 또는..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2. 2. 5. 엘리어트파동 ] 조정파동의 기본 ZIG ZAG 지그재그 조정패턴 엘리엇 파동 조정 편 임펄스 파동에 비하여 조정파동은 다양하며 복잡하고 어렵다 그래서 조정파동이 끝날 때까지 패턴을 예상해서 맞추기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여러 파동의 형태가 복잡하게 뒤섞여서 하나의 파동을 이루며 조정 중에는 저 많은 인내심과 유연성이 요구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가장 기본이 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조정 패턴을 먼저 알아보자 지그재그 조정은 ABC 3 파동으로 이루어진다 5파동(A)-3 파동(B)-5파동(C) = ABC 3파동 *A 파동은 임펄스 파동 또는 리딩 다이아고날 B파동은 모든 조정 패턴이 가능하다(지그재그, 플랫, 트라이앵글, 등) C파동은 임펄스 파동 또는 엔딩 다이아고날 (A 파동에서 다이아고날이 나왔다면 C파동에서는 다이아고날이 나오지 않는다 A파동에서 다이아고날이 안..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2. 2. 5. 보조지표 ] 일목균형표에서 가장 중요한 후행스팬 활용법 안녕하세요 럭키입니다. 일목균형표 정리를 시작하고 벌써 4번째 포스트인데... 갈길이 머네요.... 괜히 시작했나 생각도 들지만 이왕 시작한 거 열심히 가보렵니다. 오늘은 일목균형표에서 과거를 담당하고 있는 후행스팬입니다. *이전 포스팅부터 현재 / 미래 / 과거라는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사실 앞뒤에 있다는 것이지 각선들은 서로 간의 과거와 미래가 됩니다 이후의 정리 글에 제대로 다루겠습니다) 후행스팬 = 현재 주가를 26 캔들 뒤에 표시한 선 굳이 뭐 하러 현재 주가를 26일 뒤에 표시를 하나? 싶겠지만 이 선이 캔들과 다른 선들과 만날 때면 많은 것들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차트는 일목균형표의 후행스팬과 캔들의 움직임을 비교해 본 것이다. 후행스팬은 현재의 주가를 26캔들 위에 표시한 ..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2. 1. 4. 오더블럭 ] 초보자용 오더블록 그리는 방법 / 오더블럭으로 간단하게 지지 저항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럭키입니다. 오더블럭을 그리는 방법을 영상으로 간단하게 찍어보았습니다. 갑자기 생각이나서 연습 없이 막 찍은 거지만 완벽하지는 않아도 이해하시기엔 충분할 거라 생각합니다. 오더블럭을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추세전환에 실패한 캔들입니다. 추세전환에 실패한 캔들의 위치는 매도세와 매수세가 접전을 벌인 곳으로 이후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하게 됩니다. 백문이 불여일견 영상으로 한번 보시겠습니다. 오더블럭 그리기 다시 말씀드리지만 연습 없이 차트분석 없이 그냥 막 그린 겁니다. 완벽하지는 않아도 이해하시는 데는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오더블럭을 그릴 때 가격 범위 툴을 사용합니다 영상에 있으니 그 부분도 참고하시고요 그리는 영상에서 이미 보셨겠지만 막 그린 오더블럭도 지지 저항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1. 12. 28. 엘리어트 파동이론 ] 엔딩 다이아고날, 리딩다이아고날, 확장형 다이아고날 다이아고날 다이고날은 두가지형태로 나뉜다 리딩다이아고날, 엔딩다이아고날 엘리어트파동의 리딩다이아고날과 엔딩다이아고날 리딩다이아고날 규칙 1-5파동의 확장과 축소에 주목한다. 2파동은 항상 지그재그패턴, 2파동은 1파동의 시작점을 역전할수 없다 3파동은 1파동의 고점을 넘어야 한다 4파동은 2파동의 저점을 침범할수 없다,파동은 항상 지그재그패턴이다. 5파동은 절단될 수 없다 항상 3파동 보다 높게 형성된다. *리딩다이아고날은 임펄스 1파동, 지그재그 A파동에 위치한다. 엔딩다이아고날 규칙 1-5파동의 확장과 축소에 주목한다. 2파동은 항상 지그재그패턴, 2파동은 1파동의 시작점을 역전할수 없다 3파동은 1파동의 고점을 넘어야 한다 항상 지그재그패턴이다. 4파동은 2파동의 저점을 침범할수 없다,4..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1. 12. 27. 기술적 분석 기본 ] 이동평균선 매수 / 매도 전략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매수 / 매도 전략 1. 한 가지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매수/ 매도를 하는 가장 간단한 매매 방법으로 캔들이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신호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로 분석한다 개인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이동평균선을 정할 수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9일 이평선이 적당한 것 같다 *스스로 차트와 접목해 보고 판단할 것 2. 단기 이동평균선과 중, 장기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방법으로 보통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하향 동파할 때 매도를 하는 전략이다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분석할 때도 마찬가지로 주의해야 할 것은 상승 중인 장기 이평선을 단기 이평선이 하향 돌파할 때 하락 중인 장기 이평선을 단기 이평선을 상향 돌파할 때는 거짓 신호일 수 있으..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1. 12. 16. 보조지표 ] 일목균형표 - 일목구름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 활용법 정리 일목균형표의 구름대를 만드는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 활용법 정리 선행스팬 1은 전환선과 기준선의 중간값을 캔들의 26일 앞에 표시한 선 *대략 17.5일간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 선행스팬2 는 지난 52일간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을 캔들의 26일 앞에 표시한 선 *전환선 / 기준선과 마찬가지로 선행스팬2는 장기추세의 방향을 제시한다 선행스팬 2가 상승 중이면 장기추세는 상승추세 하락 중이면 장기추세는 하락 중 선행스팬 1이 (빠른 중기 추세)가 선행스팬 2(장기추세)보다 강세일 때(선행스팬 1이 선행스팬 2 위에 있을 때) 구름대는 양운을 만들고 선행스팬 1이 선행스팬 2보다 약세일 때(선행스팬 2가 아래에 있을 때) 구름대는 음운을 만든다. 일목균형표의 모든 선은 지지와 저항의 역..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1. 12. 16. 보조지표 ] 상대강도지수 RSI(Relative Strength Index) 계산식 / 활용법 RSI(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 강도 지수 - 매도 세력과 매수세력의 상대적인 강도를 알아내기 위해 만들어진 보조지표!! RSI 계산식 RSI = N 일간의 상승폭 합계/(N 일간의 상승폭 합계 +N 일간의 하락폭 합계) *상승폭 / 하락폭 평균=( 직전 13일간의 평균+ 당일 변화 폭)/ 14 =N 일간의 가격 변동 중 상승분은 몇 %나 차지하는가? RSI가 50선을 호전하면 N 일간의 가격변동중 상승 폭이 50% 이상인 것 = 매수 강세 RSI가 50선을 역전하면 N 일간의 가격변동중 상승 폭이 50% 미만인 것 = 매도 강세 *30% 이하는 과매도이므로 매수 70% 이상은 과 매수이므로 매도는 위험 과열 구간에 가까울수록 추세가 강하다고 분석한다 단 과열 구간..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1. 12. 11. Candle pattern] 암호화폐 투자를 위한 차트 기술적 분석 캔들 패턴 분석 암호화폐 투자를 위해 알아야 할 차트 기술적 분석의 기본 캔들 패턴 캔들 패턴은 트레이더가 패턴을 패턴을 분석하여 이후 방향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캔들 패턴의 모양만 외우기보다는 캔들 패턴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생각해서 해석을 달아보았습니다. 시가 : 시작 가격 , 종가 : 마감 가격 저가 : 최저 가격, 고가 : 최고 가격 일봉 기준 하루 동안 매수세가 이겼으면 양봉(마감 가격이 시작 가격보다 높은 경우) 매도세가 이겼으면 음봉(마감 가격이 시작 가격보다 낮은 경우) 망치형 캔들 양봉 : 마감 가격이 장중 가장 높은 경우 (아래꼬리가 짧을수록 신뢰도가 높음) *주가 하락의 마지막 국면에 나타나는 경우가 있음 꼬리가 길면 매도세 매수세 모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 경우. 주의가 필..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1. 12. 9. 기술적 분석 기본 ] 이동평균선 분석 방법 골드크로스 / 데드코로스- 수렴과 확장 기술적 분석을 위해서는 이동평균선을 반드시 알아두어야 합니다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란 평균되는 가격과 평균대는 기간을 선으로 차트에 표시한 것입니다 예 : 5일간의 기간 동안 주가의 평균을 낸 값을 차트 위에 선으로 표시한 게 5일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에는 단순 이동평균, 지수 이동평균, 가중 이동평균이 있습니다. 지나간 과거의 주가를 평균한 후행성 지표이지만 분석하기 편리하고 매수, 매도신호를 객관적으로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 장점 5일 이동평균선 단기매매선이라고 부르며 데이트레이더와 단기 매매자들이 단기 추세를 파악할 때 주로 쓰인다. 캔들 대비 위치 이평선의 기울기 다른 이평선과의 관계 등을 살펴보아야 한다) 20일 이동평균선 중기매매선이라고 ..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1. 12. 7. 보조지표 스크립트 ] DPO (Detrended Price Oscillator) 두개를 합쳐서 한 지표로 DPO지표는 주된 가격의 사이클을 알기 위해 트렌드를 제외한 트렌드 지표입니다. 아래 스크립트는 이 DPO지표를 단기, 중기로 설정하여 한눈에 보기 위해 만들어 본 스크립트입니다. 필요하신 분들 퍼가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트레이딩뷰 차트에서 왼쪽 아래에 있는 pine 에디터 누르시고 위화면 처럼뜨면 오른쪽에 열기 누르신 다음에 목록에서 새 블랭크 인디케이터 누르 신다음 기존에 있는 스크립트 지우고 아래 스크립트 붙여 넣기 하시고 저장하시면 지표 - 내스크립트에서 언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version=5 indicator(title="Detrended Price Oscillator", shorttitle="DPO2", format=format.price, precision=2, timefr..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1. 12. 3. 일목균형표 ] 일목균형표의 구성 / 전환선과 기준선 활용방법 안녕하세요 럭키입니다. 일목균형표는 일목산인이 한눈에 균형을 알 수 있게 고안한 분석법입니다. "평균은 모든것을 반영한다" 일목균형표에도 딱 맞는 표현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목균형표는 평균이 어디인지를 한눈에 보여주며 단기. 중기. 장기별 매수세가 강한지 매도세가 강한지 판단할 수 잇게 합니다. 일목균형표는 5개의 선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 전환선 전환선은 당일포함 최근 9일간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을 표시한다. 2. 기준선 기준선은 당일포함 최근 26일간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을 표시한다. 3 선행스팬1 선행스팬 1은 전환선과 기준선의 중간값을 26일 앞에 표시한다. 4. 선행스팬 2 선행스팬 2는 당일 포함 지난 52일간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을 26일 앞에 표.. 차트기술적분석/기술적분석법 2021. 12. 1. 이전 1 2 3 다음 728x90